수도권 지하철 요금 인상이 드디어 확정됐습니다.
서울시, 인천시, 경기도 등 수도권 전역에서 운영되는 지하철의 기본 요금이 오는 2025년 6월 28일(토요일) 첫차부터 인상됩니다. 이번 요금 조정은 지하철 적자 구조 해소를 위한 불가피한 결정이라는 평가와 함께, 시민들의 체감 부담도 커질 전망입니다.
📌 목차
1. 수도권 지하철 요금 인상 내역
이번 인상은 2025년 6월 28일 토요일 첫차부터 시행됩니다.
이용 형태 | 현재 요금 | 변경 요금 | 변동 폭 |
---|---|---|---|
일반 (카드) | 1,400원 | 1,550원 | +150원 |
1회권 (현금) | 1,500원 | 1,650원 | +150원 |
청소년 (카드) | 800원 | 900원 | +100원 |
어린이 (카드) | 500원 | 550원 | +50원 |
2. 인상 배경과 경위
이번 요금 인상은 원래 2023년부터 2단계로 추진되었지만, 정부의 물가 억제 정책으로 두 번째 인상이 연기된 바 있습니다. 그러나 수도권 도시철도 운영기관들의 재정난이 심각해지면서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판단 아래, 서울시와 경기도가 협의 끝에 2025년 6월 인상을 최종 확정했습니다.
3. 서울교통공사 적자 문제와 재정 효과
서울교통공사의 재정 상태는 계속된 적자로 매우 심각합니다. 2023년 약 5,173억 원 손실, 2024년 약 7,241억 원 적자로 알려져 있으며, 2022년에도 약 6,400억 원대의 손실을 기록했습니다. 요금 인상을 통해 올해는 약 1,300억 원, 내년부터는 1,600억 원의 추가 수입이 기대됩니다.
4. 기후동행카드는 어떻게 될까?
시민들의 관심을 모았던 기후동행카드는 가격 동결을 유지합니다. 하지만 해당 카드로 42회 이상 지하철을 이용할 경우, 그 이후 탑승 비용은 공공재정에서 모두 부담해야 하기에 운영 손실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. 이 역시 서울시와 교통공사 사이의 중요한 재정 이슈로 작용하고 있습니다.
5. 요약 및 핵심 정리
- 🗓 시행일: 2025년 6월 28일 토요일
- 🚇 기본요금: 카드 1,550원 / 현금 1,650원
- 👧 청소년 및 어린이 요금도 소폭 인상
- 📉 목표: 지하철 운영 적자 해소 및 지속 가능성 확보
- ⚠️ 문제점: 무임승차 구조, 기후동행카드 손실 등
이번 인상은 단순한 요금 조정이 아니라, 수도권 대중교통의 지속 가능성과 운영 안정성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입니다. 하지만 요금 인상만으로는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기에, 앞으로 국비 지원 확대나 제도 개선에 대한 논의도 필요합니다.
✔ 함께 보면 좋은 정보
내용이 다를경우 댓글에 남겨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.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이슈 분석]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유임, 왜 갑자기 뜨거운 감자가 됐을까? (3) | 2025.06.24 |
---|---|
굳은살 왜 생길까? 원인부터 부드럽게 없애는 꿀팁까지! (2) | 2025.06.24 |
로또 1177회 당첨번호와 1등 당첨자가 많은 지역 정리 (4) | 2025.06.22 |
오아시스 티몬 인수합병: 전자상거래 시장에 미치는 영향 (6) | 2025.06.21 |
카카오톡 스포방지 기능 및 사용방법 (1) | 2025.06.20 |